[Info]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972-4, 한국음식


가게 이름이 곧 대표메뉴의 이름인 집. 양평해장국이라는 이름을 처음 듣고선

양평지역에서만 먹는 특이한 국인줄 알았는데 양과 선지 그리고 내장을 잔뜩

넣고 끓이는 국임을 알았을때는 내장기피증이 있어서 원래 먹을생각을 안했다.


그러다 이곳을 처음 방문했을때는 숙취가 정말 풀리지 않아서 해장할 거리를

찾다가 얼큰한 해장국이니 술이 깰꺼라는 생각을 하고는 호기심에 와봤었다. 


뚝배기에 팔팔 끓여나온 첫인상은 확실히 초심자가 쉬이 먹기엔 조금 어려운

인상인데 눈딱감고 국물 한숟갈 머어보니 고추기름 가득한 맛이 훅 들어온다.


선지야 원래 좋아했었으니 거부감 없었고 양부위를 한점 간장에 찍어 먹으니

쫄깃쫄깃한게 생각보다 먹을만하더라. 이런저런 생각하며 먹다가 다 비웠다.


단순히 선입견에 안먹기엔 너무 아까운 맛이란 생각이 들어서 이후로는 자주

방문을 하고 있는데 묵직한 국물에 밥한그릇 말아서 먹으면 하루가 든든하다.


어떠한 음식이건 처음접한 맛이 중요하다 생각하는데 이후에도 여러가게에서

양평해장국을 먹은뒤의 결론은 여기서 처음 먹은게 다행이라는 생각을 했다.

더욱 터프한 형태도 더욱 깔끔한 형태도 존재하지만 이정도 맛이 참 적당하다.


Impact of the Table

한뚝배기 하실래예
















[Info]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944-34, 일본음식


문득 생각해보니 최근 몇달동안 오코노미야끼를 먹었던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일본에 여행가서 그렇게 맛있게 먹어놓구선.. 그래서 생각난김에 급 방문한집


지하철역 바로 앞이지만 번화가라기에도 주택가라기에도 조금 애매한 위치고

평범한 일본선술집의 분위기. 산토리생맥주를 팔던데 제리가 치료중이라 포기

주문은 오코노미야끼 에비가츠동 야끼우동. 가격은 전반적으로 괜찮은 편이다.


음식 비주얼은 익히 먹어왔던 보아왔던 비주얼에 매우 충실하고 최근에 먹은

적이 없는터라 다른집과의 비교는 조금 어렵지만 기대했던 맛에는 만족했다.


집에서 위치도 멀지 않고 가격대도 부담스럽지 않아서 생각나면 올만한집이다.


Impact of the Table

맥주가 먹고싶다






돌담 하나로 마주하고 있는 구조 덕분에 하루에 두 곳의 서울 고궁 탐방 진행


서울 고궁 탐방 다섯번째. 이번에 돌아볼 곳은 창경궁


함양문. 창경궁과 창덕궁을 이어주는 문

 

안내 리플릿. 역시나 좋은 구성


함양문 근처에서 보여지는 창경궁의 모습


찰칵찰칵



자경전이 있었던 자리. 

일제가 꽤나 훼손을 많이 한 궁궐이다보니 남아있는 건물이 많이는 없다.



풍기대와 해시계


성종대왕 태실비


춘당지. 왕이 몸소 농사를 행하던 논

그리고 일제가 창경원으로 격하시키면서 연못을 만들어 보트타고 놀던 곳


사람이 너무 많아서 사잇길을 통해 반대편으로 이동



이쪽 풍경이 더 좋구나


팔각칠층석탑


소춘당지. 지금은 연결되어 있으나 원래는 각각 분리되어 있는 연못


대온실




온실에서 자라나는 여러 식물들


관덕정. 활을 쏘던 정자.



관덕정 근처의 텃밭


길가 향나무에 열린 열매


올라갈 수 없었던 과학의 문



영춘헌과 집복헌. 후궁들의 거처

그리고 사도세자가 태어난 곳



양화당과 통명전. 왕비의 침전


통명전은 시민들이 쉴 수 있도록 개방. 단 누우시면 안됩니다.



와중에 통제되어 있는 곳. 간간히 행사를 하는 듯


마루에 앉아 잠깐 휴식


왜 없나 했는데, 역시나 한쪽에 있던 동전던지기


이정도야 쉽지.



경춘전과 환경전. 역시나 침전


함인정. 왕과 신하가 경연을 하던 정자


길어진 해를 배경으로 브이


빈양문. 정전으로 향하는 통로


햇살 가득 받으며(?) 입장



숭문당. 정치와 학문을 논하던 곳



문정전. 왕의 집무실인 편전


그리고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혔던 문정전 앞마당


문정문


명정전. 창경궁의 정전

현존하는 궁궐의 정전 중 가장 오래된 건물


명정전의 용상


이곳도 인정전 처럼 천장에는 봉황이 위치


명정전 앞의 품계석


정전의 앞. 조정


명정문. 정전의 정문


관천대. 이름 그대로 하늘을 관찰하기 위한 관측대



옥천교. 정전으로 가기 위해 건너는 다리


홍화문. 창경궁의 정문

궁궐의 정문이 마지막이 되기는 처음


잘 보고 갑니다. 





치과 치료덕에 한주 푹 쉬고, 다시 [서울 고궁 탐방] 진행


서울 고궁 탐방 네번째. 이번에 돌아볼 곳은 창덕궁


돈화문. 창덕궁의 정문


날씨가 맑으면서도 적당히 선선해서 나들이 하기엔 딱 좋았다.


창덕궁 안내 리플릿. 역시나 좋은 구성


자랑스러운 우리의 세계 문화 유산


때마침 문화해설이 진행중이어서 초반은 해설을 듣기로 결정


궐내각사의 입구



규장각. 왕실 자료실




검서청




궐내각사의 모습들


선선한 가운데 보이는 구름들



선원전. 왕들의 초상화인 어진을 모시고 다례를 지내던 곳



양지당. 왕이 제사 전날 머무르던 곳





선원전 일원의 모습들


궁궐을 감시하는 CCTV. 근처의 색깔과 맞춤


약방


금천교. 정전으로 가기 위해 건너는 현재 궁궐에 남은 가장 오래된 돌다리


비단처럼 아름다운 물이 흐른다는 뜻인데, 현재는 물이 흐르지 않는다.


거북이 앞의 나비들


진선문. 옛날엔 이곳에 신문고가 있었다고 한다.


처마와 하늘의 조화




외행각. 호위청과 상서원 등 여러 관청이 있던 자리


인정문. 정전의 정문


인정문을 지나 마주하는


인정전. 창덕궁의 정전


인정전의 품계석


인정전 위의 이화(오얏나무 꽃)문양

임금이자 황제였던 순종이 머물렀던 곳인 만큼, 왕가의 문양을 새겼다고 한다.


어도. 정전으로 향하는 길

가운데길은 원래 왕만 걸을 수 있었다. 양쪽으로는 무신과 문신의 길



행간


운좋게 시간이 맞아 인정전 내부를 관람할 수 있었다.


인정전의 용상


왕이 있는곳에 언제나 함께한 일월오봉도



천장의 봉황들



인정전 내부의 화려한 모습들


용상의 뒷모습


마지막 임금이자 황제가 머무른 정전이라 서양식으로 개조된 부분이 많다.


인정전의 지붕. 역시나 지붕 역시 부분적으로 황제의 품격에 맞게 개조되었다.

 

선정문. 편전의 정문


복도각



선정전. 왕의 집무실인 편전

역시나 이곳에도 있는 일월오봉도



희정당. 조선 후기에 편전으로 사용한 곳


후기에 사용된 편전이다보니 내부는 서양식으로 꾸며져 있다.




대조전. 왕비의 침전


흥복헌. 마지막 어전회의를 통해 경술국치가 결정된 비극의 현장



대조전 근처의 서양식 부엌


경훈각










대조전 일원의 모습들


찰칵찰칵



빼꼼




성정각. 세자가 머물렀던 동궁




성정각 일원의 모습들


입장이 제한된 승화루



낙선재. 후궁의 처소였으며 조선의 마지막 왕족이 머물렀던 곳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거북이 등껍질모양 돌담




석복헌과 수강재



소박했던 낙선재의 모습들


낙선재를 뒤로 다정하게 찰칵


내부 매점인 동궐마루에서 이것저것 기념품 구입. 아쉽게도 뱃지는 없다.


멀찌감시 보이는 인정전을 뒤로 하고 다음 목적지로 이동


잘 보고 갑니다.












[Info] 서울 중구 장충동1가 26-14, 한국음식


장충동 계열 평양냉면의 본점격인 평양면옥. 원래 다른곳을 방문하려 했으나

당일 일정이 살짝 꼬이다보니 근처에 있는 이곳으로 급선회해서 방문을 했다.


내부가 꽤 넓었는데 날이 선선하고 식사시간이 아니다보니 자리는 넉넉한 편

한쪽에 자리잡고 물냉면 두그릇과 제육 반접시(메뉴편에 명시됨)을 주문했다. 


냉면에 앞서 등장한 제육, 제법 두툼하게 썰려있는데 양념장 발라서 먹어보니 

식감이 아주 부드러웠고 씹는맛도 적당한게 먹어본 제육중에선 손꼽을만했다.


맑은 육수에 담겨져 나온 냉면은 넉넉해보이는 면발이 곱게 똬리를 튼 형태

육수를 먼저 한모금 들이키고 면발을 후루룩 먹어보니 메밀향이 꽤 느껴진다.

전반적으로 와~하는 감탄사까진 없었지만 육수와 면발 모두 아주 정석적인 맛


다른 평양냉면집에 비해 압도적 우위까진 모르겠지만 간간히 생각날 맛이었다.


Impact of the Table

앗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