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참 열심히도 채팅들을 달리던 시절에, 어디사세요? 

하는 질문을 받아 부산이요-라고 대답해주면 

다들 참 한결같이 '와! 바다! 회 많이 먹겠네요 ㅋㅋㅋ' 라고들 했었다.


왜 다 바닷가에 살면 회를 잘 먹는다고 생각하는걸까.


부산에 살면서 파나 양파, 야채를 못 먹으면, 다들 별 말 않는다. 

하지만, 부산에 살면서 회를 못 먹으면, "아니, 회를 왜 못먹어?!" 

라고 반문한다. 꼭 부산이 아니라 다른 어느 바닷가 지방에 사는 

회 못먹는 사람도 이런 말을 듣겠지.


23년을 살면서 회를 입에 단 한번도 대보지 않은건 아니다.


어릴적엔 모이기만 하면 일단 횟집 고고싱.인 우리 일가 친척들 때문에

분위기상 혼자 빠질 수도 없고, 어영부영 따라가면 다-들 한마디씩 한다.

"아니, 회 못먹어? 맛있는데?"


중고딩쯤 되던 시절엔, 횟집 가면 드문드문 친척들이 물었다.

"아직도 회 못먹어?" 그럼 아빠, 신나게 딸내미를 친척들 앞에서 깐다.

"참 내, 뭐 갖다 줘도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어쩌고 저쩌고 주저리 주저리."

딸내미 가슴에 스크래치 남는줄도 모르고,

그런 말 때문에 더 회에는 손대기 싫은줄도 모르고.


하도 회를 안먹고 늘 삶은 완두콩이나 메추리알, 오이만 먹어대던 내가 

속상했는지 한번은 아빠가 회를 넣은 상추쌈을 내 입에 억지로 밀어넣은 

적이 있었는데, 한 입 씹는 순간 바로 화장실로 달려가 다 토해내고 말았다.

그래서 더 먹기 싫다.


난 그 특유의 비린내가 싫다.

이상하게 물컹거리는 그 질감이 싫다.

회도 싫지만, 조개나 여타 해물류는 대부분 싫어한다.

어렸을 땐 물마시러 부엌에 가다가도 생선 비린내가 나면 부엌엘 

들어가지도 않았고, 보이지도 않게 조개를 갈아서 미역국을 끓여도 

한스푼 떠먹고 나면 손도 안댔고, 구이든 탕이든 찌개든 

생선이 들어가면 일단 쳐다보지도 않았다.


그래도 요즘은 새우초밥은 한두개 집어먹을줄 알고, 

얼마전엔 훈제연어도 먹었다. 그 싫어하던 물렁물렁한 오징어 문어도 

꽤 잘 먹게 됐고, 순두부찌개에 들어가있는 조개는 신경 안쓰고 먹는다.


아직 싫은게 더 많다. 언젠가는 내가 먼저 홍합을 삶고 초밥을 찾고 

횟집에 들어갈지도 모르겠지만 아직 싫은건 싫단 말이다.


왜 내가 회를 못먹는다고 해서 그런 말을 들어야하는지 모르겠다.

맛있게 먹는 사람이 있으면, 못먹는 사람도 있는거잖아.

내가 회 나왔다고 인상 찌푸리고 앉아있던 것도 아닌데. 

젓가락질 하나도 안하고 술만 빤것도 아닌데.


애초에 생각했던 대로 그냥 안가는 편이 더 좋았을지도 모르겠다.

왜 내가 이상한 사람 취급 받는거야. 왜 내가 촌년인거야. 

그냥 기분이 나쁘다. 웃자고 한 말일진 몰라도, 기분 나쁘다 정말.

내가 혹 잘못 들은 거라도, 그래도 그 분위기는, 

그 말투는 진짜 마음에 안들었어.





이전에 명인대학교 크리너를 올린김에

디시인사이드 드라마 갤러리에서 공구한 노트를 정리



마왕 갤러리 - 제본형 노트


하얀거탑 갤러리 - 스프링 노트


가격만 비쌌다거나 재질이 형편없으면 안샀을 텐데

품질 자체로도 만족중. 잘 산듯.




쓰읍 일상생활/제리의 2007. 5. 26. 00:00

어떠한 일을 하건 일을 하는 사람과 노는 사람은 따로 있는 법.


거기에 오늘 새롭게 추가된 개념은. 돈을 버는 사람과 


돈을 쓰는 사람이 따로있다는 것이다. 


두번다시 그사람들과 일할 가능성은 Zero다. 엮이지 않으리.






ㅋㅋ 이거 재밌다




사람들은 재미삼아 별점을 많이 본다. 생일에 따라  별자리를 나누고, 각 별자리마다 고유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정해진 마크가 있다. 각 별자리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오는 애정운, 재물운 따위의 운세는 8천원씩 주고 사는 잡지에도, 길거리에서 쉽게 가져올 수 있는 쿠폰북에도 맨 뒷페이지 즈음에 붙어있게 마련이다. 사랑에 관한 어드바이스는 주로 여자의 입장에서 써 있으며, 어디에 적용해야할지 모를 행운의 숫자나 색깔, 물건들도 써 있고, 하지 말아야 할 일이나 잘 풀릴 거라는 둥의 이야기가 써 있다. 많은 사람들은 어디서 나왔을지 모를 이 별점을 재미삼아 보고 넘어가기도 하고, 혹은 신경을 바짝 쓰며 행운의 숫자와 같은 날짜가 돌아오면 무슨 좋은일이 있을까 하며 기대하기도 하겠지.

매달 많이 써봐야 두세장밖에 쓰지 않는 쿠폰북을 남들 다 집어가니 어딘가엔 쓰이겠지하고 냅다 집어오고 말았다. 평소엔 신경도 잘 쓰지 않다가 뒷편에 별점이 있는걸 보고 나서는 왠지 몸을 움츠리게 되었다. 내용인즉슨, 다른 것은 잘 기억나지 않고 다만 '뒷담화를 조심하라'고 했는데, 남 까다가 내가 까일 수도 있으니 조심하라는 뜻이겠지. 하지만 뒷담화는 언제든 조심해야 하지 않은가. 지지배배 잘 까대다가 혹 까이는 당사자의 귀에 들어가기라도 한다면 그야말로 싸움이 대판 벌어지든가 인연이 끊기던가 하는 일이 생길진데, 참 뻔한 이야기를 운세랍시고 적어놨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반면에 이거 정말 조심해야 하는가 하는 걱정이 슬그머니 마음 한귀퉁이에 자라나니 참 나는 소심하기도 하구나.


갑자기 이걸 왜 줄줄이 늘어놓느냐 하면, 지난달이건 이번달이건 남을 까야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남을 까야하는 일이란, 수업시간에 소설을 읽고 그에 대한 감상과 느낌을 말해주는 것이다. 비판할게 있으면 비판해야 겠지만, 좋게 말해 비판이지 쉽게 말해 까내리는거랑 다를게 뭐람. 첫 날, 두번째 순서로 나는 지지배배 까였기 때문에 사실 독을 품고 나 깐놈 너도 까여봐 하는 심정으로 물고 늘어져야 속이 시원하겠지만 (-_-) 머리가 나빠선지 내가 못썼다고 스스로 인정해선지(그래도 재미있다고는 생각한다. 고슴도치 제자식 이쁘다듯이, 암만 못써도 난 내새끼(-_-)가 이쁘다.)몰라도 누가 날 어떻게 깠는지는 까먹었다. 그냥 어렴풋한 평가만 기억날 뿐. 그래서 그런지, 졸업 얼마 안남기고 괜히 미운털 박히기가 싫어선지 아무튼, 모양과 선배들의 소설을 이야기 할때는 참 노골적이고 적나라하다가도 막상 수업시간에 가면 좋게좋게 이야기하고 만다.


마침 컴퓨터 앞에 앉아 쓰잘데기 없는 것들만 실컷 검색하고 놀던 중에, 갑작스레 별점이 생각나면서 내가 속시원하게 내 새끼 까인 억울한 심정을 복수로 승화시키지 못하는 건 그놈의 별점이 뒷담화 조심하래서 나오다가도 목에서 턱 걸리는건 아닌가 생각했다. 웃기는 망상이 아닐 수 없지만, 사람 마음이라는게 참 그렇구나. 늘 알고 뻔한 내용이라도, 어디서 뭐 있어보이게 떡하니 운세랍시고 나오면 혹시나, 하게되는거. 용한 무당들께는 죄송하지만, 하나도 모르면서 옷 차려입고 들어오는 아줌마에게 '자식놈이 문제구만?' 하고 물으면 열에 아홉은 '아니 참 용하네' 하지 않을까?(티비를 너무 많이봤나-_-?) 속 안썩이는 자식이 어딨어. 공부 안하면 공부 안해서 속썩고, 공부만 하면 공부만 해서 속썩고(이건 아닌가?-_- 내가 공부만 해봤어야 알지 뭐;). 이렇듯 뻔한, 365일중에 366일을 조심해도 모자랄, 뒷담화를 조심하란 뻔뻔한 별점을 가지고 이런 포스팅을 쓰고 있는 나도 참 웃기지만서도, 어찌나 바쁜지 소설 올린 이후로 글하나 없는 홈페이지가 불쌍해서 야밤에 끄적거린다.



소설을 써야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인지, 그래도 단편 하나 써봤다고 고새 손에 익어선지 몰라도 엔터 줄줄 치는것보다 이렇게 쓰는것이 어째 재미있다. 읽기에 불편하려나? 알게 뭐람, 책낼 것도 아니고 내 할말 쓰는것 뿐인데. 낄낄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