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문화회관 맞은편 건물에 있는 약 12년동안 유지되어온 예술영화전용극장.


이 곳이 있다는건 진즉 알고 있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방문이 미뤄졌었는데

얼마 전 이번 달을 마지막으로 운영이 종료된다는 소식을 접하고 부랴부랴

2주 연속으로 방문해서 영화를 관람했다. 지금이 아니면 다신 올 수 없기에..


사진으로 본 것보다 대기실은 훨씬 아담했고 상영관 내부는 제법 넓었으며,

구석구석 스며든 세월의 흔적이 아주 정겨웠고 특히 이 곳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티켓은 너무 예쁘게 생겨서 소장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되었다. 


과자를 사거나 외부에서 음식을 가져올 경우 소음방지차원에서 봉투를 

제거하고 전용용기에 담아주시는데 그게 좀 귀엽고 관객을 배려하는 

센스가 참 좋다고 생각했고 정성스레 타주신 커피 맛도 아주 훌륭했다.


처음 방문한지 얼마 안되었지만 이곳의 모든 면이 정말 마음에 들었다.

이제서야 오게되었다는 미안함 절반, 이제라도 온게 다행이라는 안도감 절반.


긴 시간 좋은 곳 유지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만약에라도 다른장소에서

재개관을 하신다면 최대한 자주 찾아갈게요. 그런 날이 꼭 오기를 바랍니다.











창동예술촌의 한쪽 골목에 있는 창원에 유일한 예술/독립 영화 전문상영관.


서울에서 살때도 (없어진) 씨네코드 선재 라든가 CGV 아트하우스에서 독립영화

보는 것을 좋아했던터라 창원으로 이사오자마자 독립영화관을 찾아봤는데 

마침 우리가 이사왔을 즈음 개관을 했다. 포스팅은 지금 올리지만 간간히 왔었다.


예술인 지원 프로젝트 ACC에서 운영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3층은 갤러리이고

4층은 게스트하우스 그리고 지하에 있던 소극장을 영화로 개조한 공간이다.


공간이 다소 협소하고 층고가 낮다보니 가급적 맨앞줄에 앉는 것이 보기 편한

장점 아닌 단점이 있지만 그래도 이런 곳이 존재해주는게 우리한텐 참 고맙다.





Galaxy Note8 취미생활/사진 2017. 11. 22. 01:00




앱등이까지는 아니어도 2010년 아이폰4 이후로

7년간 3세대에 걸쳐 아이폰만 써온 우리 부부의

첫번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나름 큰 변화다.


잡스의 부재가 얼마만큼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언제부턴가 아이폰에 혁신은 기대를 안하게 되었다만,

이어폰 단자의 삭제나 아이폰X의 이른바 M자탈모 논란은

이걸 감수하면서까지 새 아이폰으로 갈아타야되는지

  한달여 기간동안 심각한 고민을 하게 해주었다.


결론은 현세대 아이폰에 아무런 매력을 못느낄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써봐야겠다는 생각.


아직 꽤 낯설지만 최소 2년간은 잘부탁한다.






창원 구 탐방. 이번 목적지는 성산구.


첫 목적지는 장미공원.


말그대로 안에 장미밖에 없는 공원이다보니 개장기간이 여름한정으로 정해져있는 곳이다.













다양한 장미들이 있었구요.


맞은편에 있는 습지공원.







적절히 괜찮았던..





공원사이의 가음정천이 되려 시야가 훤한게 더 괜찮았다.


옆에 있는 환경수도공원. 즉, 3개의 공원이 길을 사이에 두고 붙어있다.


딱히 뭐 환경수도임이 와닿지는 않는다만..






여기도 뭐 그럭저럭...


버스를 갈아타면서까지 이동한 이곳은.



조금 난해한 시들이 걸려있는 이곳은.






바로 마창대교. 우리가 서울에 있는동안 완공되었는데 창원시내간 효율을 높여주는 다리로 알고 있다.







날이 좋아 그런가 텐트치고 노는분들이 많더라.


장소를 옮겨, 상남지석묘.




청동기시대의 고인돌로 원래 다른곳에 있었으나 재개발때문에 이곳에 복원을 했다고..





근처에 있는 분수광장. 이곳에서 대통령이 될 분을 가까이서 봤지.


나름 최신식건물인 상남시장.








그 옛날, 먼지풀풀 날리던 재래시장시절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천지차이다.





상남동번화가. 전국에서 면적당 유흥시설이 제일 많다고 하던데 대충 둘러봐도 이해가 간다.


한쪽에 있는 누비자자전거 중앙센터. 아직 이용은 안해봤다.



지나는 길목에 있던 성산구청.



그리고 창원지방검찰청과 창원지방법원.



버스에서 내려 창원축구센터에 도착.




앞쪽엔 이런저런시설이 있구요.



주경기장은 경남FC와 창원시청축구단의 홈구장으로 쓰인다.


한창 연습중인 보조경기장.


계절이 바뀌고.



돌탑과 동물동상이 반겨주는 이곳은.


창원에서 가장 유명한 사찰인 성주사.




절안의 풍경은 이렇고.



문이 닫혀 볼 수 없었던..


정류장이랑 멀어서 택시를 타고 이동한 성산패총.



작을 줄 알았는데 규모가 제법크다.



유물전시관.












구석에 있던 (군데군데 시멘트로 복원한게 최악이었던) 석조여래좌상.




야철지.




시설은 괜찮은데, 방문객이 많지 않아 그런가 관리가 잘 안되는듯하다.


다음 목적지는.



도로변에 위치해서 오르막길 3-5분만 올라가면 도착하는 불곡사.










한쪽에 있는 보물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아담한 절이었지만 아주 마음에 들었다.


간식을 먹으러 들른 반송시장


겉보기에는 아파트에 둘러쌓인 작은 시장인줄 알았는데



의외로 꽤 규모가 되는 재래시장이었고


한쪽의 숨겨진 통로로 들어가면



창원에 이런데가? 라는 생각이 드는 칼국수거리가 나타난다.


창원의 대표병원인 창원병원 근처의 이곳은



튤림공원 코스모스공원등으로 불리지만 정식명칭은 외동옛터


여름은 이러하고



가을은 이러하다


성산구의 마지막 목적지는 창원에 왜 있는지 모르는 올림픽공원





광장에 올림픽로고가 선명하다.




한쪽의 야구장은 마산야구장 초기 펜스와 잔디가 이식되서 시설이 꽤 괜찮다.


성산구 나들이는 여기서 마무리. 안녕 또 올게.





길냥이들 취미생활/사진 2017. 11. 1. 01:30


여름에서 가을 사이의 기간동안 길에서 만난 고양이 친구들.




















































































































모쪼록 다음 계절에도 별일 없이 잘들 지내기를.